Shining Soprano | 빛나는소프라노

www.shiningsoprano.com

728x90
반응형

빛나는반야 | Shining Banya/경전 32

[법구경] 4. 꽃

누가 이 대지를 정복할 수 있을까 누가 천상과 지옥을 정복할 수 있을까 그 누가 감동적인 법문 엮기를 솜씨 있는 이가 고운 꽃을 꾸미듯 할까 참된 수행자는 이 대지를 정복하고 천상과 지옥을 정복할 수 있다 진실한 수행자만이 진리의 말씀을 엮을 수 있다 솜씨 있는 이가 고운 꽃을 꾸미듯이 이 몸은 물거품 같고 아지랑이 같다고 깨달은 사람은 악마의 꽃 화살을 꺾어 버리고 저승의 염라왕과도 만나지 않으리라 꽃을 꺾는 일에만 팔려 제정신을 차리지 못한 사람은 죽음의 신이 앗아간다 잠든 마을을 홍수가 휩쓸어 가듯이 꽃을 꺾는 일에만 팔려 마음에 끈질긴 집착을 가지고 욕망에 빠져 허덕이는 사람은 마침내 죽음의 악마에게 정복당한다 꽃의 향기와 빛깔을 다치게 하지 않고 꿀만 따가는 꿀벌처럼 지혜로운 성자는 그와 같이 ..

[숫타니파타] 밭 가는 사람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거룩하신 스승께서는 마가다국 남산에 있는 '한 포기 띠' 라고 하는 바라문 촌에 계셨다. 그때 밭을 갈고 있던 바라문 바라드바자는 씨를 뿌리려고 오백 개의 쟁기를 소에 매었다. 스승께서는 오전 중에 바리때와 가사를 걸치고, 밭을 갈고 있는 바라문 바라드바자에게로 가셨다. 때마침 그는 음식을 나누어 주고 있었으므로 스승은 한쪽에 섰다. 바라문 바라드바자는 음식을 받기 위해 서 있는 스승을 보고 말했다. "사문이여, 나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린 후에 먹습니다. 당신도 밭을 가십시오. 그리고 씨를 뿌리십시오. 갈고 뿌린 다음에 드십시오." 스승은 대답하였다. "바라문이여,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습니다." 바라문이 말했다...

[법구경] 3. 마음

마음은 들떠 흔들리기 쉽고 지키기 어렵고 억제하기 어렵다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 갖기를 활 만드는 사람이 화살을 곧게 하듯 한다 물에서 잡혀 나와 땅바닥에 던져진 물고기처럼 이 마음은 파닥거린다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위해 붙잡기 어렵고 경솔하고 욕망을 따라 헤매는 마음을 억제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억제된 마음이 평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알아보기 어렵고 아주 미묘하고 욕망에 따라 흔들리는 마음을 지혜로운 이는 지켜야 한다 잘 지켜진 마음이 평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홀로 멀리 가며 자취도 없이 가슴 속에 숨어든 이 마음을 억제하는 사람은 죽음의 굴레에서 벗어나리라 마음이 안정되지 않고 바른 진리를 모르며 믿음이 흔들리는 사람에게 지혜는 완성될 기약이 없다 마음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생각이 흔들리지 않으며 선..

[숫타니파타] 무소의 뿔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게 폭력을 쓰지 말고, 살아 있는 그 어느 것도 괴롭히지 말며, 또 자녀를 갖고자 하지도 말라. 하물며 친구이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만남이 깊어지면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랑과 그리움에는 고통이 따르는 법. 사랑으로부터 근심 걱정이 생기는 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친구를 좋아한 나머지 마음이 거기 얽매이게 되면 본래의 뜻을 잃는다. 가까이 사귀면 그렇게 될 것을 미리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자식이나 아내에 대한 집착은 마치 가지가 무성한 대나무가 서로 엉켜 있는 것과 같다. 죽순이 다른 것에 달라붙지 않도록,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묶여 있지 않는 사슴이 숲속에서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숫타니파타] 소 치는 사람

소 치는 다니야가 말했다. "나는 이미 밥도 지었고 우유도 짜 놓았습니다. 마히 강변에서 처자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내 움막 지붕에는 이엉을 덮어 놓았고, 집 안에는 불을 지펴 놓았습니다. 그러니 신이여, 비를 뿌리려거든 비를 뿌리소서." 스승은 대답하셨다. "나는 성내지 않고 마음의 끈질긴 미혹도 벗어 버렸다. 마히 강변에서 하룻밤을 쉬리라. 내 움막에는 아무것도 걸쳐 놓지 않았고, 탐욕의 불은 남김없이 꺼 버렸다. 그러니 신이여, 비를 뿌리려거든 비를 뿌리소서." 소 치는 다니야가 말했다. "모기나 쇠파리도 없고, 소들은 들판의 우거진 풀을 뜯어먹으며, 비가 와도 견뎌 낼 것입니다. 그러니 신이여, 비를 뿌리려거든 비를 뿌리소서." 스승은 대답하셨다. "내 뗏목은 이미 잘 만들어져 있다. 욕망의 거..

[법구경] 2. 부지런히 닦음

부지런함은 생명의 길이요 게으름은 죽음의 길이다 부지런한 사람은 죽지 않지만 게으른 사람은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 이 이치를 똑똑히 알아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게으르지 않음을 기뻐하고 성인의 경지를 즐기리라 이와 같이 지혜로운 자는 생각을 깊이 하고 참을성 있고 항상 부지런히 수행하여 마음의 대자유에 이르리라 부지런히 수행하고 깊이 생각하고 말과 행동이 맑고 신중하며 스스로 억제하고 진리대로 사는 근면한 사람은 그 이름이 빛난다 항상 힘써 게으르지 않고 스스로를 자제할 줄 아는 지혜 있는 사람은 홍수로도 밀어낼 수 없는 섬을 쌓는 것과 같다 어리석어 지혜가 없는 사람은 게으름과 방종에 빠지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부지런을 가보처럼 지킨다 게으름에 빠지지 말라 육체의 즐거움을 가까이하지 말라 게으르지 않고 ..

[숫타니파타] 뱀의 비유

1 뱀의 독이 몸에 퍼지는 것을 약으로 다스리듯, 치미는 화를 삭이는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2 연못에 핀 연꽃을 물 속에 들어가 꺾듯이, 육체의 욕망을 말끔히 끊어 버린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3 넘쳐 흐르는 집착의 물줄기를 남김없이 말려 버린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4 거센 물줄기가 갈대로 만든 연약한 다리를 무너뜨리듯, 교만한 마음을 남김없이 없애버린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5 무화과 나무 숲에서는 꽃읓 찾아도 얻을 수 없듯이, 모든 존재를 영원한 것으로 보지 않는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법구경] 1. 첫번째 가르침

-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나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수레바퀴가 소의 발자국을 따르듯이 -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맑고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즐거움이 그를 따른다 그림자가 그 주인을 따르듯이 - '그는 나를 욕하고 상처입혔다 나를 이기고 내 것을 빼앗았다' 이러한 생각을 품고 있으면 미움이 가라앉지 않는다 - '그는 나를 욕하고 상처입혔다 나를 이기고 내 것을 빼앗았다' 이러한 생각을 품지 않으면 마침내 미움이 가라앉으리라 - 이 세상에서 원한은 원한에 의해서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원한을 버릴 때에만 사라지나니 이것은 변치 않을 영원한 진리다 - '우리는 이 세상에서 언젠가 죽어..

보왕삼매론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2.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하셨느니라. 3. 공부하는 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 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 데 마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수행하는 데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모든 마군으로 써 수행을 돕는 벗으로 삼으라" 하셨느니라. 5. 일을 꾀하되 쉽게 되..

우리말 금강경

우리말 금강반야바라밀경 (확고한 지혜의 완성에 이르는 길) 1) 법회의 인연 (법회인유분 法會因由分) 이와 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거룩한 비구 천이백오십 명과 함께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습니다. 공양 때가 되어 세존께서는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걸식하고자 사위대성에 들어가셨습니다. 성안에서 차례로 걸식하신 후 본래의 처소로 돌아와 공양을 드신 뒤 가사와 발우를 거두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습니다. 2) 수보리가 법을 물음 (선현기청분 善現起請分) 그때 대중 가운데 있던 수보리 장로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며 합장하고 공손히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보살들을 잘 보호해 주시며 보살들을 잘 격려..

728x90
반응형